들어가며

안녕하세요. 이번 포스팅에서는 AWS 에서 도메인을 구입하고 기본 설정을 하는 과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.

도메인 구입

Route 53 대시보드에서 도메인 등록을 선택합니다.

img.png

사용하고 싶은 도메인을 입력하여 검색해주면, 사용할 수 있는 여러 도메인들이 뜨게 됩니다. 원하는 도메인 아무거나 선택해주고 결제 진행을 선택합니다.

img_1.png

요금을 확인하고 자동 갱신 여부를 선택합니다. 1년에 18000원 정도입니다. 그 다음, 결제에 필요한 정보를 기입하고 다음으로 넘어가면 도메인이 구입되며 폰으로 결제 알림이 가게 됩니다.

나중에 귀찮아질 수 있기 때문에, 필자는 자동 갱신을 선택하였습니다.

img_12.png

30분 정도가 지나면 등록된 도메인 에 방금 생성한 도메인이 나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.

img_14.png

Route53 호스팅 영역 생성

Route 53 대시보드에서 호스팅 영역 을 선택합니다.

img_15.png

그리고 호스팅 영역 생성 을 선택합니다. (사진에서 이미 만들어져있는 것은 무시해도 됩니다.)

img_16.png

호스트 영역 구성란들을 기입합니다. 그리고 호스팅 영역 생성 을 눌러 호스팅 영역을 생성합니다.

  • 도메인 이름에는 구입한 도메인 이름을 그대로 명시합니다.
  • 유형은 퍼블릭 호스팅 영역 을 선택합니다.

img_17.png

도메인 네임 서버 확인 및 변경

호스팅 영역 > 자신의 도메인 이름 에서 NS(Name Server) 레코드와 SOA(Source Of Authority) 레코드를 확인합니다.

img_17.png

Route 53 대시보드 > 오른쪽 상단 도메인 등록 버튼(숫자 하이퍼링크 걸린 버튼) > 자신의 도메인 에서 출력되는 세부정보에서 이름 서버 와 바로 직전 기억한 NS 레코드가 일치하는지 확인 합니다. 일치하지 않으면 작업 > 이름 서버 편집 을 눌러 NS 레코드 값들을 동일하게 맞추어줍니다.

img_5.png

마치며

지금까지 AWS 에서 도메인을 구입하는 과정을 알아보았습니다. 구입 후, 설정한 호스팅 영역 은 EC2, S3 등에 도메인을 연결할 때 사용됩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