들어가며

안녕하세요. 이번 포스팅에서는 AWS에서 구입한 도메인(정확히는 서브 도메인)과 EC2를 연결하는 과정에 대해 적어보고자 합니다. 이 포스팅은 먼저 아래 링크를 보고와야 매끄럽게 이어집니다.

새로운 레코드 생성

Route 53 > 호스팅 영역 > 자신의 도메인 에서 레코드 생성을 선택합니다.

img_17.png

  1. 레코드 이름에는 자신이 원하는 서브 도메인 이름으로 구성되도록 기입합니다.
  2. 레코드 유형에는 A-IPv4 를 선택합니다.
  3. EC2 인스턴스에 도메인을 달 것이기 때문에 별칭은 활성화시키지 않습니다.
  4. 값 에는 EC2 인스턴스의 Pulic IP 혹은 탄력적 IP 를 명시합니다.
  5. TTL 은 디폴트로 두거나 60 초로 설정합니다. (TTL 은 레코드 캐시에 얼마나 오래 유지되있을지를 나타내는 값입니다.)
  6. 마지막으로 레코드 생성을 눌러주어 A 레코드를 생성합니다.

img_17.png

Route 53 > 호스팅 영역 > 자신의 도메인 에 들어가면 서브 도메인에 대한 A 레코드가 추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 (빨간색 박스)

img_18.png

도메인 연결 확인

몇분 후, 새로 생성한 서브 도메인 이름으로 브라우저에 접속하면 EC2가 잘 연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EC2 에서 Spring 이 8080 포트로 운영되고 있다면 포트포워딩이 필요합니다.

브라우저에서 도메인으로 접속한다면, 기본적으로 80 포트를 이용하게 됩니다. 만약 EC2 내부 Spring 이 8080 으로 운영되고 있다면, EC2 내부에서 80포트에서 받은 데이터를 8080포트로 포워딩시켜야 합니다. 필자는 EC2 인스턴스 내부 쉘에서 iptables 를 통해 80포트를 8080포트로 포워딩시키고, EC2 인스턴스 보안그룹의 인바운드 규칙에 80포트를 뚫어주어 정상적으로 도메인으로 접근한 상황입니다. 꼭 IpTable 일 필요는 전혀 없습니다. Nginx 로도 가능합니다.

img_11.png

마치며

지금까지 AWS 에서 구입한 도메인과 EC2를 연결하는 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. 감사합니다.